-
2025년 상속세 개정 주요 내용과 논란유용한 정보 2025. 4. 20. 23:59반응형
상속세 개정안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상속이 개시되거나 증여를 받는 경우부터 적용됩니다.
2025년 상속세 개정안은 세율 인하, 공제 확대, 과세 방식 전환 등으로 상속세 부담을 완화하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가 '부자 감세'라는 비판을 받으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 개정안 주요 내용 요약
- 과세 방식 전환: 유산세 → 유산취득세
- 기존에는 피상속인의 전체 재산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했으나, 개정안에서는 상속인이 실제로 취득한 재산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합니다.
- 상속세율 조정
- 최고세율을 기존 50%에서 40%로 인하하고, 해당 세율이 적용되는 과세표준 구간을 30억 원 초과에서 10억 원 초과로 확대했습니다.
- 공제 항목 확대
- 자녀 1인당 공제를 5천만 원에서 5억 원으로 대폭 상향했습니다. 또한, 배우자 공제는 상속받은 금액이 10억 원 미만인 경우 실제 상속받은 금액을 공제하며, 그 외 인적 공제도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 논란의 이유
- 부자 감세 논란: 최고세율 인하와 공제 확대가 고액 자산가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여 '부자 감세'라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 세수 감소 우려: 정부는 이번 개편으로 약 4조 원의 세수 감소를 예상하고 있어,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 정치적 갈등: 여당은 상속세율 인하를, 야당은 공제 확대를 주장하며, 상속세 개편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번 상속세 개정안은 상속세 부담을 완화하려는 의도가 있지만, 그로 인한 형평성 논란과 세수 감소 우려 등으로 사회적 논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입법 과정에서 이러한 문제들이 어떻게 조율될지 주목됩니다.
📊 상속세율 및 과세표준 비교표
과세표준 구간현행 세율개정안 세율1억 원 이하 10% 10% 1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20% 20%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30% 30% 10억 원 초과 50% 40% 개정안에서는 최고세율을 기존 50%에서 40%로 인하하고, 해당 세율이 적용되는 과세표준 구간을 30억 원 초과에서 10억 원 초과로 확대하였습니다.
❓ Q&A 형식으로 알아보는 상속세 개정안
Q1. 유산취득세 방식으로 바뀌면 어떤 점이 달라지나요?
A1. 상속인이 실제로 취득한 재산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므로, 상속인이 많을수록 세 부담이 분산되어 전체 세금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Q2. 자녀 공제가 5억 원으로 늘어나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
A2. 자녀가 2명인 경우, 기존에는 총 1억 원의 공제를 받았지만, 개정안에서는 10억 원의 공제를 받을 수 있어 상속세 부담이 크게 줄어듭니다.
Q3. 상속세율이 인하되면 중산층도 혜택을 받나요?
A3. 일부 중산층도 세 부담이 줄어들 수 있지만, 고액 자산가에게 더 큰 혜택이 돌아간다는 점에서 형평성 논란이 있습니다.
Q4. 상속세 개편이 가업 승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A4. 상속세 부담이 줄어들어 가업 승계가 용이해질 수 있지만, 여전히 세금 부담이 크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반응형'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개발 관련 용어 정리 (0) 2025.04.29 소상공인 배달·택배비 지원사업 안내 (1) 2025.04.21 종합소득세 환급 완벽 가이드 (0) 2025.04.06 신생아 특례대출의 자격, 한도, 신청방법, 금리, Q&A 총정리 (1) 2025.03.29 국민연금 "연금개혁법안" 주요내용 총정리 (1) 2025.03.27 - 과세 방식 전환: 유산세 → 유산취득세